반응형

DHCP란?


DHCP는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의 약자로서 PC에 자동으로 네임 서버 주소, IP 주소, 게이트웨이 주소 등을 할당해주는 프로토콜을 의미한다.


즉, 우리가 컴퓨터를 켜면 나타나는 IP 주소는 보통 동적 IP로써 이러한 IP를 DHCP에서 주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DHCP Discover : PC에서 DHCP서버가 있는지 브로드캐스팅 방식을 통해 DHCP Discover 메시지를 보내게 된다.

DHCP Offer : DHCP에서 PC에게 줄 수 있는 IP주소 리스트를 제공해준다.

DHCP Request : 리스트중 IP 하나를 선택하여 제공을 요청한다.

DHCP Ack : IP 및 네트워크 정보를 할당해주고 임대 기간을 알려준다.

Internet Access : 인터넷 사용이 가능해진다.


장점


IP를 자동으로 할당해주기 때문에 IP 충돌을 사전에 방지 할 수 있다.


단점


현재 PC가 DHCP서버에 의존하여 IP 주소를 할당받으므로 DHCP 서버가 다운되면 IP를 받지 못하여 인터넷 사용이 불가능 할 수 있다.





DNS란?


DNS란 Domain Name System의 약자로서 xxx.xxx.xxx.xx같은 IP 주소를 www.helloworld.com처럼 변환 혹은 역변환 역할을 하는 프로토콜이다.


이러한 DNS를 운영하는 서버를 네임서버(Name Server)라고 한다.




DDNS


DDNS 또는 Dynamic DNS(동적 DNS)라 쓰이며 실시간으로 DNS를 갱신하는 방식이다.


주로 도메인의 IP가 유동적인 경우 사용된다. ip가 바뀌어도 DDNS로 설정한 도메인값은 변하지 않기 때문에 용이하게 접속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이용하는 포털사이트나 각 기업, 정부기관의 홈페이지 들은 해당 기업이나 기관 등이 소유한 고정 IP를 통해서 DNS 주소를 할당 받기 마련인데, 가정 단위에 있어서 고정 IP를 할당받는 것은 상당한 비용이 들 뿐더러 IP 추적에 의한 사생활 침해 요소가 있기 때문에 유동 IP를 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유동 IP 에 그냥 DNS 주소를 할당해 버리면 사용자의 IP가 바뀌기 전 까지는 멀쩡히 작동하지만, IP 유동이 일어나는 순간 해당 주소로 들어온 트래픽은 본래 그 주소를 할당받은 사용자에게 가지 않고 새로이 그 IP를 차지하게된 엉뚱한 사용자에게 가게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나온것이 바로 DDNS이며 일반적으로는 유동 IP로 인터넷을 공급받는 대다수의 인터넷 사용자들이 개인 서버나 NAS 구축을 하려 할때 이용하게 된다.







반응형

'Applied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GET, POST방식  (0) 2019.06.20
HTML과 XML차이  (3) 2019.05.20
브라우저 작동 원리 및 http 통신 원리  (0) 2018.11.25
REST API란? 개념 및 정리  (0) 2018.11.19
빅 엔디안(Big Endian) 리틀 엔디안(Little Endian) 개념  (0) 2018.10.21